반응형

관절초음파란 무엇인가?

관절 초음파는 관절 부위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절뿐만 아니라 인대, 건, 윤활낭과 같은 관절 주변부의 이상을 해당 부위의 구조와 문제를 진단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주로 관절 내부의 손상, 염증, 혹은 염증성 질환 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되며, 컴퓨터 단층촬영 CT나 자기공명영상 MRI는 실시간 검사와 진단이 불가하지만, 관절초음파는 실시간으로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관절초음파 부위

1) 슬관절 (무릎 관절) 초음파 : 슬관절 내부 구조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로 전방십자인대(ACL), 후방십자인대(PCL), 내측측인대(MCL), 외측측인대(LCL) 등의 인대 손상, 연골 손상 등을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2) 골반 관절 초음파 : 골반에 있는 다양한 관절들 (고관절, 사타구니-좌골 관절 등)의 염증, 관절염, 힘줄염, 절단 등의 문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3) 어깨 관절 초음파 : 어깨 관절 내부의 건초염, 건초염건염증, 회전근개 손상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4) 손목 및 손 관절 초음파 : 손목, 손 등의 관절에 대한 손상, 염증, 건초염, 봉오리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5) 엘보 관절 초음파 : 엘보 관절 내부의 건초염, 건초염건염증, 힘줄염, 절단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관절 부위에 대한 초음파 검사가 있으며, 각 관절의 특정 문제나 증상에 따라 적절한 검사 방법이 선택됩니다.

 

관절초음파 치료방법 및 주사종류

 

관절통에 사용가능한 주사약물의 종류

1) 스테로이드 (트리암시놀론, 덱사메타손)

관절, 부착부, 윤활낭의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관절염이나 힘줄염과 같은 염증성 상태에 대해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중 트리암시놀론이 효과가 가장 오래가지만, 부작용으로 주사부위의 변색, 지방층의 소실 등 부작용이 생길 수는 있으나, 일시적입니다.

2) Hyaluroate (히루안, 시노비안)

Hyaluroate는 정상적인 관절 내 성분으로서 윤활유의 역할을 합니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 사이가 좁아지며 윤활액이 감소하고 연골이 소실되는 질환입니다. 무릎, 어깨의 퇴행성관절염 환자에서 히루안 주사를 시행할 수 있으며, 히루안 주사는 주 1회로 3주간 시행 가능합니다. 시노비안은 무릎 퇴행성관절염에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주사를 시행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6개월 이상의 기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시행 가능합니다.

3) 콘쥬란

콘쥬란은 폴리뉴클레어티드 나트륨 합성물로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 환자엥게 관절 내 주사를 통해 기계적 마찰을 줄이며 통증을 줄여줍니다. 콘쥬란도 히루안 주사와 마찬가지로 주 1회로 3회 시행이 가능하며, 무릎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는 6개월 이상의 기간을 두고 반복 시행 가능합니다.

5) 텐도리겐

텐도리겐은 인대, 건의 주요 성분인 1형 콜라겐 합성물입니다. 인대, 건의 부분적 손상이 초음파에서 확인될 경우 손상부위에 주사함으로 손상을 수복시키며 통증을 경감시켜 줍니다.

 

관절초음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