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이란?
사람의 귀는 외이, 중이, 내이 이렇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이중 어느 한 부분의 기능이 저하되어 소리를 잘 듣기 어려워지는 난청이 생기게 됩니다. 난청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며,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일 수 있으며 연령, 유전, 외부 소리의 노출, 질병, 소음,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크게 유전적인 원인과 환경적인 원인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면 말을 배우지 못하게 되므로 가능하면 일찍 발견하여 치료를 통해 소리를 잘 듣게 해 주고 정상적인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난청의 종류
난청은 그 원인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공통성 난청 (Conductive Hearing Loss) : 외부 소리가 중이로 전달되지 않아 청각 손실이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중이염 (Otitis media), 이완증 (Otosclerosis), 귀지 포화 (Impacted Earwax)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발생 원인에 따라 다양하게 치료가 가능하며, 중이염의 경우 항생제, 이완증의 경우 수술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감음성 난청 (Sensorineural Hearing Loss) : 청각 신경이나 내이 구조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로, 대개는 영구적인 손실입니다. 발생 원인으로는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노화, 소음 노출, 유전적인 요인, 감염, 손상, 약물 부작용 등이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보청기나 청력 보조 장치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3) 혼합성 난청 (Mixed Hearing Loss) : 공통성 난청과 감음성 난청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로 각각의 난청 유형에 따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4) 신경성 난청 (Neural Hearing Loss) : 청각 신경이나 중추 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청각 신경종양, 중추 신경계 이상으로 발생될 수 있습니다. 발생 원인에 따라 치료방법은 다양하며, 종양의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청력검사 자가진단 방법
- 속삭이는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
- 식당이나 공연장 등 시끄러운 곳에서 사람들의 말소리를 잘 알아듣지 못한다.
- 들은 소리를 자주 반복하여 말해달라고 부탁한다.
- TV나 라이도 볼륨소리를 다른 사람들보다 크게 듣는다.
- 말소리가 소음으로 들리는 것 같거나 사람들의 말소리가 웅얼거리는 것처럼 들린다.
- 귀에서 울리는 소리가 들린다.
- 전화통화 시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
위 질문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사항이 있다면 난청을 한 번 즘은 의심해 보고, 이비인후과 의사나 청각 전문가에게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렴의 주요 증상 및 원인 치료방법을 알아보자 (2) | 2024.03.12 |
---|---|
폐렴 증상 및 치료방법을 알아보자 (1) | 2024.01.08 |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증상 및 치료방법 (1) | 2024.01.03 |
독감 감기 코로나 증상비교 차이 (0) | 2024.01.01 |
비문증 자가진단 원인 및 치료 (0) | 2023.12.06 |